ASQ 소개
- ASQ(American Society for Quality, 미국품질협회)는 1946년 미국방위산업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해 창설되었으며, 정부기관 및 기업에게 품질의 중요성을 알리고, 교육ㆍ서비스ㆍ공공ㆍ의료ㆍ제조업 분야의 경영혁신기법, 성공사례, 품질교육 등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입니다.
- ASQ는 150개국 몇백만 명의 개인 및 기업ㆍ기관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전세계 기업과 조직, 지역사회를 변화시켜 미래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분야의 품질전문가들이 자발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.
- ASQ는 QC, QA, Reliability, PM, Software Quality, 식스 시그마 등 품질 관련 교육 및 세미나 개최와 17개 자격인증제도인 ASQ 인증 제도 운영 및 미국 국립표준원(NIST)과 공동으로 말콤 볼드리지상을 주관ㆍ운영해 오고 있습니다.
ASQ자격 인증절차
ASQ 자격의 기대효과
- 국내 수출 기업의 국제 공인 품질전문가 확보로 대외적인 품질 신뢰도 향상
- 직장에서의 전문성 확보 및 새로운 기술에 대한 공유
- 글로벌 수준의 제품 및 서비스 품질보증이 가능한 역량 있는 직원 육성
- 모든 직원이 공통된 품질언어로 소통 가능
- 모든 직원이 개선 방법 습득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
- 기업과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
- 국내외 품질분임조대회(ICQCC 포함) 출전 기업의 국제 공인 품질전문가 확보
ASQ 자격 종류
- CQE(Certified Quality Engineer) : 국제품질기사
- CRE(Certified Quality Engineer) : 국제신뢰성기사
- CSQE(Certified Software Quality Engineer) : 국제소프트웨어품질기사
- CQA(Certified Quality Auditor) : 국제품질심사원
- CQIA(Certified Quality Improvement Associate) : 국제품질개선관리사
- CMBB(Certified Master Black Belt) : 국제마스터블랙벨트
- CSSBB(Certified Six Sigma Black Belt) :국제식스시그마블랙벨트
- CSSGB(Certified Six Sigma Green Belt) : 국제식스시그마그린벨트
- CSSYB(Certified Six Sigma Yellow Belt) : 국제식스시그마옐로우벨트
- CQT(Certified Quality Technician) : 국제품질기술사
- CQI(Certified Quality Inspector) : 국제품질검사원
- CMQ/OE(Certified Manager of Quality / Organization Excellence) : 국제품질 / 조직탁월성관리자
- CCT(Certified Calibration Technician) : 국제검교정기사
- CHA(Certified HACCP Auditor) : 국제HACCP심사원
- CBA(Certified Biomedical Auditor) : 국제생물의학심사원
- CQPA(Certified Quality Process Analyst) : 국제품질프로세스분석가
- CPGP(Certified Pharmaceutical GMP Professional) : 국제의약품제조품질관리전문가
- CSQP(Certified Supplier Quality Professional) new
전세계 ASQ 자격 취득 현황
※2016년 12월말 기준
자격 구분 |
시험 |
자격 |
|
자격 구분 |
시험 |
자격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QT(국제품질기술사) |
1970 |
23.948 |
|
CSQE(국제소프트웨어품질기사) |
1986 |
2.919 |
CQE(국제품질기사) |
1968 |
22.875 |
|
CQPA(국제품질프로세스분석가) |
2005 |
2.215 |
CQA(국제품질심사원) |
1987 |
21.551 |
|
CCT(국제검교정기술자) |
2004 |
1.376 |
CQI(국제품질검사원) |
1984 |
14.458 |
|
CBA(국제생물의학심사원) |
2002 |
1.164 |
CSSGB(국제식스시그마그린벨트) |
2006 |
14.009 |
|
CHA(국제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심사원) |
1999 |
1.144 |
CSSBB(국제식스시그마블랙벨트) |
2001 |
12.624 |
|
CPGP(국제의약품제조품질관리전문가) |
- |
480 |
CQIA(국제품질개선관리사) |
2000 |
11.331 |
|
CSSYB(국제식스시그마옐로우벨트) |
2015 |
121 |
CMQ/OE(국제품질/조직탁월성관리자) |
1995 |
11.127 |
|
CMBB(국제마스터벨트) |
2015 |
88 |
CRE(국제신뢰성기사) |
1972 |
3.869 |
|
- ASQ 자격 취득자수 (17개 자격) 144,905명
국내 ASQ 자격 취득 현황
※2016년 12월말 기준
자격 구분 |
자격 취득자수 |
자격 취득 주요업체 |
---|---|---|
CQE(국제품질기사) |
1.664명 |
삼성전자, 삼성SDI, 포스코, 포스코ICT, 포스코캠텍, 코닝정밀소재, 현대자동차, KT,한국전력공사, LG전자, LG화학, LG디스플레이, LG이노텍, 피에스케이, 만도, 세메스, 휴맥스, 심텍, 동우화인캠, 일진디스플레이, 지멘스, 에드워즈코리아,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, 국방기술품질원, 남서울대학교, 대림대학교 등 총 73사 |
CRE(국제신뢰성기사) |
889명 |
LG전자, LG이노텍, LS엠트론, LG노텔, 삼성전자, 삼성메디슨, 삼성전기, 삼성탈래스, 현대로템, 현대중공업, 두산, 코웨이, 윈텍, 유디피, 한라공조, 포스코엔지니어링, 지멘스, 볼보건설기계코리아, 건국대학교, 부산대학교, 대림대학교,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, 한국산업기술시험원,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등 총 47사 |
CSQE(국제소프트웨어품질기사) |
95명 |
LG CNS, 삼성SDS, 삼성전자, LG전자, 삼성탈래스, 세메스, 현대로템, 팬택, 한국항공우주연구원, GM, 고영테크놀로지 등 |
CQA(국제품질심사원) |
17명 |
삼성전자, 삼성디스플레이, LG전자, LG디스플레이, 한국얀센, 보잉, 콘티넨탈오토모티브, Mercury Marine, 휴맥스, 만도, 셀트리온, 셀트리온제약 등 |
CQIA(국제품질개선관리사) |
11명 |
오스템, KYUNGSHIN I-TECH 외 |
CMQ/OE(국제품질/조직탁월성관리자) |
6명 |
삼성전자, 삼성전기, Mercury Marine, 셰플러코리아, 자산유리 등 |
CSSBB(국제식스시그마블랙벨트) |
5명 |
LG전자, 삼성전자, 다우코닝코리아, 휴맥스 등 |
CCT(국제검교정기사) |
3명 |
포항산업과학연구원 외 |
CQT(국제품질기술사) |
1명 |
개인 |
CBA(국제생물의학심사원) |
1명 |
LG생명과학 |
CSSGB(국제식스시그마그린벨트) |
1명 |
Analog Devices Inc. |
- 국내 ASQ 자격 취득자수 (11개 자격) 2,693명